부여 가림성(加林城) 축조 연대가 확실한 유일한 백제 산성 二十三年... 八月 築加林城 以衛士佐平苩加鎭之 동성왕 23년(서기 501) ... 8월, 가림성(加林城)을 쌓고 위사좌평 백가에게 그곳을 지키게 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동성왕 23년(501) 조 사적 제4호. 둘레 600m, 지정면적 12만916㎡. 현재 테뫼형 .. 南方創作/답사 2017.08.23
오월(吳越) 기행 (2) - 장쑤성 양주(양저우, 揚州), 남경, 단양(丹陽) 양주: 광릉(廣陵)의 현재를 보다 올해(2016)년 6~7월 필자는 이른 여름휴가를 맞아 3박 4일간 중국 양주와 남경, 그리고 단양을 답사했다. 양주는 그 옛 지명이 ‘광릉’으로, 남경에서 북동쪽으로 장강을 건너 일반 철도로도 50분이면 닿는 근거리의 장쑤성 주요 도시이다. <남제서> 백제.. 南方創作/답사 2016.12.11
오월(吳越) 기행 (1) - 주산군도(舟山群島)에서 남경(南京)까지 오월 지역: 장쑤성(江蘇省)과 저장성(浙江省) 중국사에 등장하는 ‘오월(吳越)’ 지역을 현대 중국에 대입하면 대체로 장쑤성(강소성)과 저장성(절강성)에 겹친다. 춘추시대 기준으로 장쑤성 남부 지역을 대략 오(吳)나라로, 저장성 지역을 월(越)나라로 봐도 크게 무리는 없다. 상해(上海),.. 南方創作/답사 2016.10.23
영산강 유역 (2) - 법성포(法聖浦)와 월계동 고분, 국립나주박물관 법성포: 백제 불교의 공식적 전래지? 2013년 9월 나주 고분군에 이은 답사지는 영광 법성포(法聖浦)였다. 특산물인 굴비가 훨씬 유명하기는 하지만, 법성포는 그 불교적 지명에서 보듯이 ‘백제의 불교 전래’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전해지는데, <삼국사기>의 다음과 같은 기록이 발단.. 南方創作/답사 2015.11.29
영산강 유역 (1) - 수수께끼의 고대(古代) 세력과 백제 전라남도 서남해안을 아우르는 평야지대와 수많은 섬들은 바다를 통해 중국 동해안은 물론 한반도 서남해안 전체, 제주도와 일본 열도 모두에 짧은 항해로 닿을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산악지대가 많은 고대 한반도에서 해로와 수로는 가장 빠른 교통과 운송 수단이다. 그.. 南方創作/답사 2015.09.13
아산 영인산성 - 대두성과 백제 내전(478) 대두성(大豆城)을 찾아서: 아산의 산성군(群)과 영인산성 한성백제 피난세력의 중심지이며 478년 해구가 반란을 일으킨 곳으로 기록된 대두성이 어디였는지 정확히 알려주는 사료는 없다. 다만 한성 함락 이후 현재의 경기도 이남으로 밀린 백제의 판도로 보아 웅진 부근의 어느 지점일 .. 南方創作/답사 2014.06.04
한강의 백제 <3> - 하남 이성산성/궁안마을/하남역사박물관/도미나루 이성산성: 유물의 배신 역사적 사건이나 그 지리적 위치를 확정할 때에는 역사학적 추리에 근거한 ‘설’과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맞춰볼 필요가 있다. 캐낼수록 ‘고조선’ 중심지의 가능성을 점점 짙게 풍기는 내몽골 적봉(赤峰)의 ‘요하(遼河)문명’ 유적과 같이, 뜻하지 않은 고고.. 南方創作/답사 2014.03.22
한강의 백제 <2> -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한성백제박물관 올림픽과 아파트가 찾아준 백제 도성 필자는 풍납토성(風納土城)을 세 번(2011년 6월, 2011년 11월, 2012년 10월), 몽촌토성(夢村土城: 고조선과 삼한의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곰말’이라는 우리말이 ‘꿈말’로 바뀌어 음차된 명칭이라고 한다)을 두 번 답사(2011년 6월, 2012년 10월)하였다. 2011.. 南方創作/답사 2014.03.01
한강의 백제 <1> - 아차산 보루군 '충동답사'의 전말 2011년 11월의 어느 주말 필자는 오후 늦게 매우 충동적으로 5세기 후반 고구려 유적이 산재한 아차산(峨嵯山)으로 향했다. 아차산(287m)은 그리 높지는 않지만 용마산(348m)과 함께 서울 광진구와 구리시에 걸쳐 능선이 넓게 퍼져있으며 남면이 천호대교와 광진교 방향의 .. 南方創作/답사 2014.02.20
충남 공주 일대 <2> - 임류각과 공주의 고분군 임류각과 폭군(?) 동성왕 공산성 내에 있는 지금의 임류각은 기록을 토대로 복원한 것이고 임류각 터는 별도로 보존되어 있다. 왕궁 추정지와 마찬가지로 임류각을 보게 될 때에도 그 규모에 실망하게 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임류각 터는 검박함을 강조하는 주자학의 이념을 가지고 지.. 南方創作/답사 2014.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