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주왕(文周王, ? ~ 477, 재위 475~477): <삼국사기> 기록상 백제의 22대 왕. 개로왕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 출신은 미심쩍은 부분이 많다. 상좌평을 지냈으며, 개로왕의 명을 받고 신라에서 1만의 원병을 이끌고 오지만 한성이 함락당하고 개로왕이 처형당하자 웅진으로 수도를 옮기고 즉위한다.
해구(解仇, ? ~ 478): 5세기 백제 내전기의 권신(權臣). 그가 부여의 왕성(王姓)이며, 고구려와 백제의 초기 왕성으로도 생각되는 유서 깊은 성씨인 해(解)씨인 것으로 볼 때 웅진보다는 한성 계열의 귀족으로 판단할 수 있다. 476년 8월 병관좌평에 올랐고 477년 9월 문주왕을 살해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그 직전인 477년 7월 곤지의 죽음 이후 정권을 장악하는 것으로 보아 곤지 역시 살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주왕의 어린 태자인 13세의 삼근왕을 옹립하고 국정을 농단하다 역시 한성계 귀족인 진(眞)씨 세력과 대립하여 웅진 북쪽의 대두성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하고 사망한다. 5세기 초 전지왕 대의 병관좌평 해구(解丘)와는 다른 사람인 것이 확실하다.
해구와 다른 세력들: ‘민심’의 향방과 갈등, 진(眞)씨와 연(燕)씨
5세기 후반 백제 내전 시기의 자료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 기록된 몇 줄에 불과하므로 그 상황에 대한 추리 역시 이들 제한된 기록에 바탕을 두고 ‘무리한’ 상상력을 발휘할 수밖에 없다. 앞선 포스팅에 인용한 <삼국사기> 문주왕 2년(476) 조에 따르면 웅진성의 궁궐을 중수하고 ‘한수 북쪽의 민가’를 대두성으로 옮긴 것이 476년 (음력) 2월의 일이고, 해구가 병관좌평으로 임명되는 것은 동년 8월의 일이다. 475년 9월의 한성 함락으로부터 궁궐 중수와 주거지의 건설은 불과 5~6개월의 시차를 가지고 있고, 해구의 병관좌평 임명이 다시 그 6개월 후이다. 고대의 공사 기간을 감안했을 때 이는 상당히 빠르다고 할 수 있는데 ‘속도전’의 분위기가 엿보인다.
해구를 한성계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그가 유서 깊은 해씨 귀족이기 때문일 뿐 아니라 후에 (478년) 웅거하여 반란을 일으키는 곳이 한성의 백성들을 이주시킨 지역인 대두성(大豆城)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궁궐 중수나 주거지 건설에 있어 빠른 속도를 냈다면 인력 동원 등에 다소의 무리가 있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 이러한 과정을 주도한 인물이 해구일 가능성이 높으며, 병관좌평에 오르는 인물답게 군민(軍民)을 동원한 강압의 분위기가 웅진과 그 북부지역을 휘감았을 수 있다. 문주왕-해구 정권의 중심축은 해구의 강력한 강압적 동원력과 ‘백성들도 그를 사랑’할 정도로 이를 누그러뜨리는 문주왕의 리더십이었을지 않을까 한다.
즉 해구에 대한 ‘민심’은 겉으로 보이는 복종의 자세와 달리 상당히 나빴을 가능성도 있다. 한성에서 피난 온 백성들의 입장에서는 개로왕의 무리한 토목공사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도망쳐 내려온 상황에서까지 군역과 강제노역 등에 시달린다면 이에 대한 감정이 좋을 리는 없다. 해구의 힘은 민심 아래로부터의 단결력이라기보다는 재력과 몇몇 세력 연합에 의한 전형적인 지배 권력에 바탕하고 있었을 것이며, 이는 오래지 않아 내전에서의 최종적인 패배라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이 때의 세력연합은 문주왕과 해구의 대비된 역할을 통한 연합과, 또 다른 한성계 귀족인 진씨와 토착 세력인 연씨 등이 동거하는 형태였을 것이다. 즉 나중에 기술할 2차 내전(478년)에서 해구의 반란에 대한 진압주체로 진씨 인물들이 등장하고, 반면 해구의 반란에 가담한 연신(燕信)이라는 인물도 보이고 있는데 이들은 문주왕 집권기에는 연합하고 있지 않았을까 한다.
1차 내전(477년): 문주왕-해구vs곤지
앞 포스팅에서도 기술했듯이 곤지는 백제 왕실의 우두머리인 동시에 왜국과 백제 남부에 광범위한 세력을 구축한 걸출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그 세력은 넓게 흩어져있을지언정 모이는 데는 어려움을 겪기 쉬운데 이를 간파한 ‘한 수’가 477년 4월 문주왕 및 해구가 곤지를 ‘내신좌평’에 임명하여 웅진으로 불려 올린 사건이다. 곤지가 내신좌평에 오른 지 한 달 만에 웅진에서는 ‘흑룡이 나타나’고 그 후 두 달 만에 곤지가 사망하는데 이는 분명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다. 이 상황은 ‘내전’이라고 할 수 있지만 공간적으로 웅진성에 한정된 소규모의 정변이었던 듯 하며, 위에서 기술한 해구의 행동 패턴 그대로 ‘속도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곤지는 자연사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크고 독살이나 (해구가 배후에 있었겠지만) 제3자에 의한 살해 등으로 사망한 것이 아닐까 한다. 곤지와 같은 이른바 ‘사기 캐릭’의 어이없는 죽음은 세계사에서 심심치 않게 나타나는 사례로서 비감(悲感)을 자극하는 경우가 많은데, 필자의 사극 기획에서도 모대(동성왕), 어린 사마(무령왕)와 청년 백가 등을 등장시켜가며 이 사건을 최대한 극적으로 전개시킬 것이다. 물론 자세한 내용은 시놉시스와 극본으로 보이게 될 것이며 지금은 비공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문주왕이 데려왔다는 신라군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데 이미 전부 또는 대부분 철수했던 듯하다. 그런데 신라군의 철수는 문주왕의 세력 기반이 그만큼 크게 약화되었다는 뜻이다.
대권을 향한 해구의 진격은 곤지의 죽음 이후에도 거침없이 재빨랐다. 두 달 후, 과연 ‘사람 좋은’ 문주왕이 그 두 번째 희생양이 되고 만다. 즉 ‘문주왕-해구’ 연합은 와해되고 새로운 합종연횡(合縱聯橫)이 시작된다.
四年 秋八月 兵官佐平解仇 擅權亂法 有無君之心 王不能制 九月 王出獵 宿於外 解仇使盜害之 遂薨
4년(일반적으로 문주왕 3년으로 본다) 가을 8월, 병관좌평 해구가 권력을 마음대로 행사하고 법질서를 문란하게 하며 임금을 업신여겼으나 임금이 이를 억제하지 못하였다.9월, 임금이 사냥을 나가 외부에서 묵었는데, 해구가 도적으로 하여금 임금을 해치게 하여 마침내 임금이 돌아가셨다.
- <삼국사기> 문주왕 3년(477) 조
이제 벌어지게 되는 해구와 진씨 세력 간 2차 내전(478)의 전개는 다음 글인 답사 포스팅의 아산 영인산성 편에서 기술될 것이다.
'南方創作 > 列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주백제와 요서백제 <2> - 북위(北魏)의 발흥과 풍태후(馮太后)의 등장 및 그 영향 (0) | 2014.06.28 |
---|---|
월주백제와 요서백제 <1> - 남북조(南北朝)의 정립과 주변 세력의 향배 (0) | 2014.06.08 |
문주왕과 해구 <2> - 백제 내전기(475~479)의 인물들 (0) | 2014.05.06 |
문주왕과 해구 <1> - 백제 내전기(475~479)의 인물들 (0) | 2014.04.26 |
‘개로왕의 부인’ 또는 ‘곤지의 여인’: ‘초향번사희’와 ‘도미부인’, 그리고 간첩 도림 이야기 (0) | 2014.03.30 |